[WHITESHIP #1] 4. 제어문
#Season1 백기선님과 함께하는 자바 온라인 스터디
목표
자바가 제공하는 제어문을 학습해보자.
학습 내용
- 선택문
- 반복문
- 과제 (옵션이지만 무조건 참여 해보자.)
선택문 (switch)
- 선택문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분기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일종의 조건문이다.
- if문(조건문)은 조건식이 많아질수록 else-if를 추가해야하므로 조건식이 많아져 복잡하고, 계산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걸린다. 그러나 switch 문의 조건식은 결과값으로 int형 범위의 정수값을 허용하므로, 하나의 조건식만 계산하면 if문보다 속도가 빠르다. switch vs if 어떤 때 어는게 효율적인가요?
- 조건식은 연산결과가 int 형 범위의 정수값 이어야 한다. 또한 case문에는 오로지
리터럴 이나, 상수 만을 허용한다.(JDK 1.7 이상부터 String 변수도 허용 된다.) - case중간에, break문을 만나게 되면 case문을 빠져나가게 되며, break문이 없다면 모든 문장을 수행하게 된다.
public class Switch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 = (int) (Math.random() * 10) + 1;
System.out.println("n = "+ n);
switch (n) {
case 1: {
System.out.println("나온 숫자는 1 입니다.");
break;
}
case 2: {
System.out.println("나온 숫자는 2 입니다.");
break;
}
case 3:{
System.out.println("나온 숫자는 3입니다.");
break;
} default: {
System.out.println("나온숫자는 1 또는 2 또는 3 이 아닙니다.");
}
}
}
}
n = 8
나온숫자는 1 또는 2 또는 3 이 아닙니다.
---
n = 2
나온 숫자는 2 입니다.
---
n = 6
나온숫자는 1 또는 2 또는 3 이 아닙니다.
[참고: java의 정석 2nd Edition]
반복문
- 어떤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떄 사용하는 문법이다.
- for / while / do-while 문으로 구분된다.
for
for ((1)초기화 ; (2)조건식 ; (4)증감식) {
(3) 수행될 문장
}
(1) 초기화는 처음에만 한번 수행되고, (2)가 true 일때 (3) 실행 (4) 증감식 이렇게 반복된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 (int i = 0; i < 3; i++) {
System.out.println("i = "+ i + ", i < 3 ?" + (i < 3));
}
}
}
i = 0, i < 3 ?true
i = 1, i < 3 ?true
i = 2, i < 3 ?true
foreach(향상된? for문) JDK 1.5 이상부터 추가되었으며, for문과 동일하나, 조건식 부분이 다르게 표현된다. list, 혹은 array를 돌릴때 직관적이나, index값을 사용하려면 별도의 선언이 필요하다.
/** for문 사용*/
public class ForLoop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String> progressWeeks = List.of("week1", "week2", "week3", "week4");
for (int i = 0; i < progressWeeks.size(); i++) {
String progressWeek = progressWeeks.get(i);
System.out.println(progressWeek);
}
}
}
/** foreach 사용 */
public class ForEachLoop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String> progressWeeks = List.of("week1", "week2", "week3", "week4");
for (String progressWeek : progressWeeks) {
System.out.println(progressWeek);
}
}
}
while
while((1)조건식) {
(2) 수행될 문장
}
(1) 조건식이 true일 때, (2) 를 실행 후 다시 (1)이 true인지 반복 과정이 이뤄진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0;
while (i < 3) {
System.out.println("i = " + i + ", i < 3 ?" + (i < 3));
i++;
}
}
}
위에 작성한 for과 결과는 동일하다. while의 조건식을 잘못 작성시(조건식이 계속 true 일때) 무한루프에 빠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do-while while문의 변형으로 기본적인 구조는 while과 같으나,(1) 수행될 문장 먼저 실행 후 (2) 조건식을 비교한다.
do {
(1) 수행될 문장
} while((2)조건식);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 {
System.out.println("do-while 실행입니다.");
} while (false);
}
}
do-while 실행입니다.
과제 1. live-study 대시 보드를 만드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1. GitHub API 발급하기
1.1 github API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token key 사전 발급
- 발급 방법: github 접속 ->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 Generate new token
- 권한은 repo만 허용을 하였다. (issue에 접근하기 위함)
1.2 발급받은 access token이 유효한지 사전 테스트 - curl
https://api.github.com/ API 호출시 어떤
API를 호출할 수 있는지 상세하게 나온다. (Hateos restful 성숙도 모델(?)에서 3단계인가 기억이 잘 안난다..)
그중 우리는 특정 레포지토리(online-study)에 관해 알아야 하므로, repo를 우선적으로 조회 해보자
“repository_url”: “https://api.github.com/repos/{owner}/{repo}”,
repository_url을 조회해보니, 관련있을것 같은 issues_url 을 찾았다.
“issues_url”: “https://api.github.com/repos/giyeon95/giyeon95.github.io/issues{/number}”,
위에 나온 정보를 잘 조합해서 구현을 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Github 자바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문제를 잘 읽자.. (위의 과정을 사용하기 쉽게 API단에서 제공해준다.)
2. GitHubBuilder 을 이용해 Repository 가져오기
public static GitIssueBoard create(String token, String repoContext) throws IOException {
return new GitIssueBoard(token, repoContext);
}
private GitIssueBoard(String token, String repoContext) throws IOException {
repo = GitHubBuilder
.fromEnvironment().withOAuthToken(token)
.build().getRepository(repoContext);
List<GHIssue> assignments = initAssignments(); // 2.
this.participants = getParticipants(assignments); //3.
}
Github API를 gradle(혹은 maven)에 추가해준 다음, API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초기 생성해주는 코드이다. token은 위 방식으로 생성한 값을 넣어주었고,
repoContext에는 url 뒤의 context를 넣어주면 된다. (“whiteship/live-study”)
3. initAssignments()
private List<GHIssue> initAssignments() throws IOException {
return repo.getIssues(GHIssueState.ALL).stream()
.filter(issue -> issue.getAssignees() != null)
.filter(issue -> issue.getAssignees().stream()
.anyMatch(assignee -> assignee.getLogin().equals("whiteship")))
.sorted(Comparator.comparing(GHIssue::getNumber))
.collect(Collectors.toList());
}
Repository에 지정한 repository에서 getIssues()를 통해 이슈 목록을 가져왔다.
Issue에서 assignee 을 할당해줄 수 있는데,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filter을 통해서 스터디 주차 목록에서 제외한다.
assignee의 할당자가 whiteship 이 아닌경우 제외한다.
issue의 지정된 number 순서대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준후 List
타입으로 리턴
4. getParticipants(List assignments)
private List<Participant> getParticipants(List<GHIssue> assignments) throws IOException {
List<Participant> participants = new ArrayList<>();
int size = assignments.size();
for (int week = 0; week < size; week++) {
GHIssue assignment = assignments.get(week);
Set<String> ids = getPerformComments(assignment); // 4.
for (String id : ids) {
int pos = findListIndex(participants, id); // 5.
Participant participant = performAssignment(participants, id, week, size); // 6.
if (pos == -1) {
participants.add(participant);
} else {
participants.set(pos, participant);
}
}
}
return participants;
}
assignments를 매 회차별로 돌며 getPerformComments() 메서드를 이용해 댓글을 조회한다.
5. getPerformComments(GHIssue assignment)
private Set<String> getPerformComments(GHIssue assignment) throws IOException {
return assignment.getComments().stream()
.filter(comment -> comment.getBody().contains("https://"))
.map(comment -> {
try {
return comment.getUser().getLogin();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return StringUtils.EMPTY;
}).filter(StringUtils::isNotEmpty)
.filter(t -> !t.equals("whiteship"))
.collect(Collectors.toSet());
}
-
과제를 제출한 참가자는, 본인이 공부한 내용 링크를 남겼는지 확인하기 위해 https:// 가 포함되어있는지 한번 확인한다.
-
사용자 아이디를 모아서 Set(중첩 댓글)으로 반환한다.
6. findListIndex(List participants, String id)
private int findListIndex(List<Participant> participants, String id) {
for (int i = 0; i < participants.size(); i++) {
if (participants.get(i).equals(id)) {
return i;
}
}
return -1;
}
- 다른 회차에 동일한 참가자가, 과제를 제출했을때, 해당 사용자의 index를 반환한다.
7. performAssignment(List participants, String id, int week, int size)
private Participant performAssignment(List<Participant> participants, String id, int week, int size) {
return participants.stream()
.filter(p -> p.getId().equals(id))
.findFirst()
.map(p -> p.submitAssignment(week))
.orElseGet(() -> Participant.create(id, size));
}
- filter을 통해, 신규 참가자인지, 기존에 참여했던 참가자인지 분리한다.
- 기존의 참여했던 참가자는 Participant.submitAssignment(week)을 이용해, 해당 week에 참가 표시를 해준다.
- 신규 참가자는 Participant.create(id, size)를 이용해 새로 생성해준다.
8. Participant
@Getter
@EqualsAndHashCode(of = {"id"})
public class Participant {
private String id;
private Progress progress;
private Participant(String id, Progress progress) {
this.id = id;
this.progress = progress;
}
public static Participant create(String id, int size) {
return new Participant(id, Progress.create(1, size));
}
public Participant submitAssignment(int week) {
this.progress.submit(week);
return this;
}
public String getProgressString()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id);
sb.append("(");
sb.append(progress.getPercent());
sb.append(")");
sb.append(" ");
sb.append(progress.draw());
return sb.toString();
}
}
- id는 참가자 id, Progress 클래스는 진척률을 담고있다.
9. Progress
class Progress {
private long submitCount;
private long term;
private boolean[] isSubmitEachWeeks;
private Progress() {
}
private Progress(long submitCount, int size) {
this.submitCount = submitCount;
term = size;
isSubmitEachWeeks = new boolean[size];
}
public static Progress create(long submitCount, int size) {
return new Progress(submitCount, size);
}
public String getPercent() {
return String.format("%.2f", ((double) submitCount / (double) term) * 100.0) + "%";
}
public String draw()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0; i < term; i++) {
if (isSubmitEachWeeks[i]) {
sb.append("■");
} else {
sb.append(" ");
}
}
return sb.toString();
}
public Progress submit(int week) {
isSubmitEachWeeks[week] = true;
++submitCount;
return this;
}
}
- submitCount는 지금까지 제출 합계
- term은 과제의 총 갯수 (총 주차)
- isSubmitEachWeeks는 각 주차별 제출 여부를 의미한다.
10. 결과
...중략...
Yo0oN(22.22%) ■■ ■
tbnsok40(22.22%) ■ ■■
WonYong-Jang(22.22%) ■■ ■
yeo311(22.22%) ■■ ■
sjhello(11.11%) ■
giyeon95(16.67%) ■■
addadda15(16.67%) ■■
gblee87(27.78%) ■■■■
coldhoon(11.11%) ■
Sungjun-HQ(27.78%) ■■■■
JsKim4(16.67%) ■■
ku-kim(22.22%) ■■■
sowhat9293(16.67%) ■■
memoregoing(27.78%) ■■■■
Jason-time(27.78%) ■■■■
...중략...
열심히 공부해야겠다..
과제 2. LinkedList를 구현하세요.
0. LinkedList란?
LinkedList란 배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자료구조중 하나이다.
LinkedList는 node로 이루어져 있으며 node는 data와 next(다음 요소를 바라보는 주소값)으로 구성되어 있다.
0.1 배열과의 차이점
Array | LinkedList |
---|---|
크기 변경 불가 (크기를 처음에 지정함) | 크기 변경 가능 (node의 연결로 크기를 처음에 지정하지 않음 |
중간에 데이터를 추가하기 복잡함(기존 데이터 이동 및 데이터 삽입) | 중간에 데이터를 추가할때 복잡하지 않음(이전 node가 바라보는 주소를 추가 되는 노드로, 추가되는 노드 주소는 다음 노드로 지정하면 됨) |
0.2 LinkedList의 종류
LinkedList는 다음과 같이 3종류로 구분되어진다.
- 단일 연결 리스트 (Singly Linked List)
- 이중 연결 리스트 (Doubly Linked List)
- 원형 연결 리스트 (Circular Linked List)
0.2.1 단일 연결 리스트
각 노드가 다음 노드에 대해서만 참조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연결 리스트
일반적으로 Queue를 구현할때 사용됨
0.2.2 이중 연결 리스트
각 노드가 이전 노드, 다음 노드 에 대해서 참조하는 형태의 연결 리스트
삭제가 간편하나, 관리할 참조가 2개이기 때문에 삽입이나, 정렬의 경우 작업량이 더 많아짐
0.2.3 원형 연결 리스트
연결 리스트에서 마지막 요소가 첫번쨰 요소를 참조하는 리스트
스트림 버퍼의 구현에 많이 사용 됨
1. LinkedList Interface
public interface LinkedList<T, R> {
R add(T nodeToAdd);
R add(T nodeToAdd, int position);
R remove(int positionToRemove);
boolean contains(T nodeToCheck);
void print();
int size();
}
추가, 삭제, 포함여부, 출력, size 의 기능을 구현하려고 정의 하였다.
제너릭 타입을 사용한 이유는 제너릭과 친해지기(?) 위해서 적용해보았다, (추후에 확장성에서도 좋지 않을까 싶다.)
2. HeaderNode
public class HeaderNode implements LinkedList<Node, HeaderNode> {
private Node next;
private int size;
@Override
public HeaderNode add(Node nodeToAdd) {
...
}
@Override
public HeaderNode add(Node nodeToAdd, int position) {
...
}
@Override
public HeaderNode remove(int positionToRemove) {
...
}
@Override
public boolean contains(Node nodeToCheck) {
...
}
@Override
public void print() {
...
}
@Override
public int size() {
...
}
}
HeaderNode는 LinkedList에서 header을 따로 분리(?)하는게 더 좋고 명확할 것 같아 분리 하였다. (추가, 삭제등, HeaderNode를 반환)
3. Node
public class Node {
private int data;
private Node next;
public int getData() {
return data;
}
public Node getNext() {
return next;
}
public void setData(int data) {
this.data = data;
}
public void setNext(Node next) {
this.next = next;
}
public Node(int data, Node next) {
this.data = data;
this.next = next;
}
public Node(int data) {
this.data = data;
}
}
Node는 LinkedList에서 담을 데이터를 정의했다.
4. ListNodeTes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Equals;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False;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Throws;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True;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ListNodeTest {
HeaderNode list;
@BeforeEach
void initListNode() {
this.list = new HeaderNode();
list.add(new Node(3))
.add(new Node(4))
.add(new Node(5))
.add(new Node(6));
}
@Test
@DisplayName("노드 초기화")
void nodePrintTest() {
list.print();
assertEquals(list.size(), 4);
}
@Test
@DisplayName("노드 추가")
void nodeAddToPositionTest() {
list.add(new Node(2), 0);
assertTrue(list.contains(new Node(2)));
list.print();
}
@Test
@DisplayName("노드 삭제")
void nodeRemoveToPositionTest() {
list.remove(2);
assertFalse(list.contains(new Node(2)));
assertThrows(IndexOutOfBoundsException.class, () -> list.remove(100));
list.print();
}
@Test
@DisplayName("노드 포함 여부 테스트")
void nodeContainsTest() {
assertTrue(list.contains(new Node(6)));
assertFalse(list.contains(new Node(100)));
}
}
@BeforeEach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사전에 데이터를 정의해두었다.
각 케이스 별로 노드를 추가 및 삭제 해보며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론 참고: Java로 연결 리스트(Linked List) 구현하기
과제 3. Stack을 구현하세요.
1. Stack Interface
import java.util.EmptyStackException;
public interface Stack {
void push(int data) throws IndexOutOfBoundsException;
int pop() throws EmptyStackException;
}
2. StackNode
import java.util.EmptyStackException;
public class StackNode implements Stack {
int[] dataHolder;
int size = 10;
int pos = 0;
public StackNode() {
dataHolder = new int[size];
}
public StackNode(int size) {
this.size = size;
dataHolder = new int[size];
}
@Override
public void push(int data) throws IndexOutOfBoundsException {
if (size <= pos) {
throw new IndexOutOfBoundsException("Out Of Stack Capacity Space!");
}
dataHolder[pos++] = data;
}
@Override
public int pop() throws EmptyStackException {
if (pos < 1) {
throw new EmptyStackException();
}
return dataHolder[--pos];
}
}
3. StackNodeTest
import java.util.EmptyStackException;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StackNodeTest {
Stack defaultSizeStack;
@BeforeEach
public void initStackNode() {
defaultSizeStack = new StackNode();
}
@Test
@DisplayName("스택 push Exception 테스트")
public void stackPushExceptionTest() {
int defaultSize = 10;
for (int i = 0; i < defaultSize; i++) {
defaultSizeStack.push(i);
}
Assertions.assertThrows(IndexOutOfBoundsException.class, () -> defaultSizeStack.push(11));
}
@Test
@DisplayName("스택 pop Exception 테스트")
public void stackPopExceptionTest() {
Assertions.assertThrows(EmptyStackException.class, () -> defaultSizeStack.pop());
}
@Test
@DisplayName("스택 push / pop 테스트")
public void stackPushTest() {
defaultSizeStack.push(3);
defaultSizeStack.push(4);
defaultSizeStack.push(5);
int pop5 = defaultSizeStack.pop();
int pop4 = defaultSizeStack.pop();
int pop3 = defaultSizeStack.pop();
Assertions.assertEquals(pop5, 5);
Assertions.assertEquals(pop4, 4);
Assertions.assertEquals(pop3, 3);
}
}
과제 4. 앞서 만든 ListNode를 사용해서 Stack을 구현하세요.
1. LinkedNodeStack
public class LinkedNodeStack implements Stack {
HeaderNode linkedNode;
int pos = 0;
public LinkedNodeStack() {
this.linkedNode = new HeaderNode();
}
@Override
public void push(int data) throws IndexOutOfBoundsException {
linkedNode.add(new Node(data));
pos++;
}
@Override
public int pop() throws EmptyStackException {
if (pos < 1) {
throw new EmptyStackException();
}
int targetPos = --pos;
Node node = linkedNode.get(targetPos);
linkedNode.remove(targetPos);
return node.getData();
}
}
과제 3.의 배열을 사용한 스택 구현과 유사하고, 배열대신 직접 구현한 HeaderNode.class를 사용하였다.
HeaderNode 안의 remove 메서드는 삭제한 값을 반환하지 않기때문에, get이란 메서드를 새로 만들었다.)
2. HeaderNode get() 추가
@Override
public Node get(int positionToGet) {
if (positionToGet < 0 || positionToGet >= size) {
throw new IndexOutOfBoundsException("position out of index");
}
Node preNode = next;
for (int i = 0; i < positionToGet; i++) {
preNode = preNode.getNext();
}
return preNode;
}
HeaderNode의 인터페이스인 LinkedList에도 get을 정의 해야 한다.
3. LinkedNodeStackTest
import java.util.EmptyStackException;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LinkedNodeStackTest {
Stack stack;
@BeforeEach
public void initStackNode() {
stack = new LinkedNodeStack();
}
@Test
@DisplayName("스택 pop Exception 테스트")
public void stackPopExceptionTest() {
Assertions.assertThrows(EmptyStackException.class, () -> stack.pop());
}
@Test
@DisplayName("스택 push / pop 테스트")
public void stackPushTest() {
stack.push(3);
stack.push(4);
stack.push(5);
int pop5 = stack.pop();
int pop4 = stack.pop();
int pop3 = stack.pop();
Assertions.assertEquals(pop5, 5);
Assertions.assertEquals(pop4, 4);
Assertions.assertEquals(pop3, 3);
}
}
###
과제 5. Queue를 구현하세요.
1. Stack Interface
public interface Queue {
void push(int data);
int pop();
}
2. QueueNode
public class QueueNode implements Queue {
private final int[] dataHolder;
private final boolean[] useFlag;
private int size = 10;
private int frontPos = 0;
private int backPos = 0;
public QueueNode() {
useFlag = new boolean[size];
dataHolder = new int[size];
}
public QueueNode(int queueSize) {
this.size = queueSize;
useFlag = new boolean[size];
dataHolder = new int[size];
}
@Override
public void push(int data) throws IndexOutOfBoundsException {
int bp = backPos % size;
if (useFlag[bp]) {
throw new IndexOutOfBoundsException();
}
useFlag[bp] = true;
dataHolder[bp] = data;
backPos = bp + 1;
}
@Override
public int pop() throws QueueEmptyException {
int fp = frontPos % size;
if (!useFlag[fp]) {
throw new QueueEmptyException();
}
useFlag[fp] = false;
int popData = dataHolder[fp];
frontPos = fp + 1;
return popData;
}
}
- 배열에 저장하기 때문에, size 크기만큼 순회한다. (bp, sp)
- useFlag 배열은 현재 데이터가 queue에 들어가 있는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boolean 값을 넣었다.
3. QueueNodeTes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Equals;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QueueNodeTest {
Queue queue = new QueueNode();
@Test
@DisplayName("push / pop 테스트")
void pushPopTest() {
for (int i = 0; i < 10; i++) {
queue.push(i);
}
for(int i = 0 ; i< 10 ; i++) {
assertEquals(queue.pop(), i);
}
}
@Test
@DisplayName("push / pop 번갈아가며 테스트")
void randomPushPopTest() {
for (int i = 0; i < 5; i++) {
queue.push(i);
}
for(int i = 0 ; i< 5 ; i++) {
assertEquals(queue.pop(), i);
}
for (int i = 0; i < 10; i++) {
queue.push(i);
}
for(int i = 0 ; i< 10 ; i++) {
assertEquals(queue.pop(), i);
}
}
}
Leave a comment